📢 전세사기·대출사기 피해? 서울 청년을 위한 채무 상담·회복 지원 총정리
요즘 뉴스만 봐도 보이스피싱, 전세사기, 불법대출 같은 일들이 정말 남 일 같지 않죠.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청년층은 정보도 부족하고, 대응 방법도 막막한 경우가 많아요.
그래서 오늘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39세 이하 청년을 위한, 금융피해 회복 지원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봤어요. 지금 어렵다고 느끼시는 분들께 이 정보가 꼭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💡 이 서비스는 뭐하는 곳인가요?
서울복지재단이 운영하는 금융피해 청년 희망회복 지원서비스 는 사기 피해로 인해 채무를 안게 된 청년들에게 무료 상담과 법률적 도움을 제공하는 제도예요.
- 📌 대출사기, 전세사기, 불법사금융 피해자 지원
- 📌 채무 상태 점검 → 맞춤형 해결책 제시
- 📌 개인회생 절차가 필요하면 법률비용까지 지원
- 📌 복지 서비스(주거, 심리상담 등)도 연계
특히 개인회생 신청에 드는 변호사 비용이 부담되시는 분들에겐 소득 기준 충족 시 무료로 지원해주는 점이 큰 장점이에요.
🙋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- ✅ 서울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9세 ~ 39세 청년
- ✅ 금융사기 피해로 인해 부채 상환이 어려운 분
예를 들어 이런 경우가 해당돼요:
- 보이스피싱을 당해 예금이 날아갔거나, 대출이 생긴 경우
- 전세사기로 인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빚을 지게 된 경우
- 미등록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렸다가 고금리+연체로 고통받는 경우
※ 2025년 기준 신청 시점에 서울시 주소지여야 하며, 생년월일이 1985.1.1 ~ 2006.12.31 사이여야 합니다.
💸 소득 요건은?
이 서비스는 기준 중위소득 140% 이하인 청년에게 우선적으로 지원됩니다. 소득은 ‘건강보험료 납부 내역’으로 확인하며, 아래 기준을 참고하세요.
가구원 수 | 월 소득기준 | 건강보험료 (직장) | 건강보험료 (지역) |
---|---|---|---|
1인 | 3,349,000원 | 118,821원 | 46,072원 |
2인 | 5,506,000원 | 196,177원 | 133,680원 |
3인 | 7,036,000원 | 252,203원 | 196,416원 |
4인 | 8,537,000원 | 311,031원 | 269,976원 |
※ 소득이 없거나 수급자·차상위 계층인 경우에도 관련 증빙으로 신청 가능해요.
📑 필요한 서류는?
📍 금융피해 증빙 서류
- 전세피해 확인서 (주택도시보증공사)
- 사건 사고 사실확인서 (경찰서)
- 보이스피싱 접수증 (금융감독원)
- 판결문 또는 민사·형사 결정문 (법원)
📍 소득 증빙
-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
-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
📋 상담은 어떻게 진행되나요?
- ① 신청: 전화 또는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- ② 면담: 채무 현황 파악 + 상환 능력 분석
- ③ 해결책 제시: 개인회생, 채무조정 등 맞춤형 방향 제안
- ④ 필요 시 법률지원: 변호사 연계, 구조공단 지원 등
- ⑤ 복지 연계: 주거지원, 심리상담, 긴급복지 등
모든 과정은 무료이며, 신청자의 정보는 철저하게 보호됩니다.
📌 실제 사례 소개
- 사례 1: 검찰 사칭 전화로 대출받고 연체 발생 → 개인회생 진행
- 사례 2: 전세 사기로 보증금 못 돌려받음 → 채무관리 및 법률지원
- 사례 3: 불법 대출업체에서 돈 빌려 돌려막기 → 신고 + 상담 + 대리인제도 활용
📞 신청 방법 정리
- 📱 전화: 1644-0120 → 1번 (청년동행센터)
- 🌐 온라인 신청: 👉 신청 링크 바로가기
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
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어려운 시민들께 최선의 도움을 드리고자 적극적인 상담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 혼자서는 해결이 어려운 금융고민,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가 해결해 드리겠습니다. 금
sfwc.welfare.seoul.kr
https://sfwc.welfare.seoul.kr/web/contents/applyCounsel.do?tab=0031&act=Lst
🎯 마무리하며
사회에 첫발을 디딘 청년에게 사기 피해와 부채는 너무나 큰 부담입니다. 이럴 때, 내가 혼자가 아니라는 걸 알려주는 제도가 있다는 게 큰 힘이 될 수 있어요.
혹시 나 자신이, 혹은 내 주변 누군가가 해당된다면 이 제도를 알려주세요. 당장은 작아 보여도, 그 한 걸음이 삶을 바꿀 수 있습니다.
※ 이 글은 서울시복지재단의 공공정보를 바탕으로 블로거가 재정리한 포스팅입니다.